조선시대의 ‘공신회맹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양재 댓글 0건 조회 3,852회 작성일 25-06-09 00:30본문
애서운동가(愛書運動家) 백민 이양재(白民 李亮載) 20세쯤에 법가(法家) 한비자의 『한비자(韓非子)』를 읽은 적이 있다. 17세 때쯤에 본 장주(莊周)의 『장자(莊子)』보다는 현실적인 법치(法治)를 다루고 있는 책이다.봉건 왕조에서 공로자에게 공신 칭호를 내리는 것은 칭호뿐만 아니라 막대한 보상을 내린다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사상에 공신이 처음 등장하는 기록은 고려의 개국공신(開國功臣)이다. 고려 태조 왕건은 고려를 개국한 후 삼한통일에 공이 있는 자에게 삼한공신(三韓功臣)의 작호를 내렸다. 또한 삼한공신이 널리 퍼져